주요 뉴스기사

장유면행정개편시민대책위 “4개 행정동 시행 타당”

이영철의 희망세상 2012. 5. 3. 00:34

미래를 내다보는 행정개편안 촉구

 

'장유면행정개편시민대책위원회’ (위원장 이영철. 이하 시민대책위)는 26일 “장유면의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행정개편의 필요성에 대해 상당부분 공감한다. 하지만 합리적인 행정개편에 당사자인 장유면민의 의사가 반영되어 합리적으로 진행할 것”을 김해시와 시의회에 촉구했다.

 

*. 김해시의 3개 동 구획안과 시민대책위의 4개 동 구획안 비교


아파트단지 64개단지 중 설명회신청한 10여개 단지와 자생단체들에게만 설명회를 개최하여 참석자들 418명에게서만 받은 설문 결과를 근거로 동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3분의2를 넘었고, 3개동으로 시행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2013년 7월 시행하자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며 '3개동으로 2013년 7월 1일시행 계획안’을 지난 25일 김해시의회에 설명했다.

시행계획에 따르면 3개의 행정동은 ▲내덕리, 무계리 등을 중심으로 한 장유 원도심(인구 5만2000명)을 제1지역으로 ▲삼문리,
대청리 등을 중심으로 한 장유신도시(인구 3만8000명)를 제2지역으로 ▲율하신도시(인구 3만7000명)를 제3지역으로 행정구역 경계가 나뉘어져 있다.

앞서 시민대책위는 지난 3월 15일 '시민대책위의 개편안에 대한 의견서’를 김해시에
제출하고 보도자료를 통해 의견서를 포함한 재검토를 재차 요구했다.

그 주요내용은 ▲장유출장소 도심 이전(구청제 대비) ▲4개 동으로 구획(출장소 포함 5개동 효과, 각 동별 4만명의 인구로 구획) ▲향후 3~5년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정 투입후 시행(유예효과 및 인프라구축) 등이다.

시민대책위측은 “김해시장이 지난 25일 시의회에 보고한 내용에는 시민대책위의 이같은 의견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아파트설명회를 실시한 10여개 단지 중 4개단지(율하 2곳, 대청리 1곳, 부곡리 1곳) 설명회에 시민대책위가 참관을 하였으나 참여한 대부분 주민은 김해시의 행정개편안 자체를 여러 가지
이유로 반대하거나 추진절차상의 문제를 지적했다”고 주장했다.

김해시의 설문결과는 시민대책위가 장유면 각 지역에서 무작위로 실시한 기존
설문조사 결과(669명조사 - 찬성 10.8%, 반대 89.2%)와 정면 대치되는 결과이며, 김해시가 설문조사서를 통해 '3개동 2013년 7월 시행안'을 유도하기 위해 시행했던 요식행위(설문조사 항목 자체가 편향적으로 구성)에 불과했다는 것이 확인됐다는 논리다.

김해시는 시의회에 설명한 만큼 6월경 행자부에 건의하고 9월경 김해시의회에서 관련조례('김해시청 및 읍면동의 사무소 소재지에 관한 조례’ 등 3개 조례)를 개정하여 2013년 7월 1일부로 장유면을 3개 행정동으로 전환하여 시행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민대책위는 올해와 내년에 율하지역 신규 아파트가 입주되고 율하2지구가 입주되면 6~7만명에 이를 것은 자명한 사실인 만큼 미래를 내다보는 행정개편안을 마련 할 것을 요구했다.

시민대책위는 또 “김해시의 행정개편안에는 '장유출장소의 이전계획’은 포함되지 않았다”며 “3개 행정동의 주민자치센터가 편중된 것을 보더라도 출장소 이전지역을 이미 소문으로만 돌고 있는 특정지역(신문리 일원 특정소유자
대지)으로 하기 위한 수순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3개 행정동의 주민자치센터를 2지역은 내년 6월, 3지역은 2014년 상반기, 1지역은 2015년 상반기에 준공할 계획이라면서도 동전환 시행은 내년 7월 1일부터 하겠다는 것은 '주민 편의를 위한 동전환’이라는 김해시의 주장과는
전면 대치되며 논리에도 맞지 않다”고 덧붙였다.

시민대책위는 향후 3~5년간 필요한 인프라(장유출장소 이전, 각 주민센터 건립 등)를 점진적으로 예산을 투입하여 구축한 후 4개 행정동으로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