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강곤지(마찰)지구 친환경 정비사업'(조만강생태체육공원조성)이 82억원의 예산을 들여 준공되었지만, 막대한 세금을 사용하고 이대로 애물단지로 전락되고 말아야 하는 것일까요??
오늘(12일) 모방송사의 현장인터뷰를 위해 조만강생태체육공원을 다시 찾았습니다.
바람이 부는 날이라 그런지 침수로 인해 쌓인 흙먼지가 일어 인터뷰도 어려울 지경이었습니다..
초기 설계단계부터 하절기 잦은 침수를 고려하여 성토 등을 통해 왠만한 호우에는 침수되지 않도록 해 상시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의 구간을 체육공원으로 조성했어야 하는데 그러한 부분이 상당부분 고려되지 않은 점과 시민들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진입로 등과 기초편의시설이 전혀 설치되지 않은 점이 결국 예산만 낭비한 사업으로 전락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kbs 중앙뉴스 '세금 제대로 쓰자' "80억 생태공원 잡초밭 전락" 방송내용 보기
>>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941987
이제 이 조만강생태체육공원을 어떻게 재정비하여 서부권 김해시민들이 즐겨찾는 공원으로 만들것인가? 를 고민해야 합니다.
부산시의 낙동강 하구둑부터 '삼락생태공원'까지의 사례를 한번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있어 기회가 되면 한번 가보려고 합니다.
(*. 참조 >> http://blog.daum.net/jj-maumdaro/734 )
조만강생태체육공원의 재정비는 시민들의 접근성(도로 등) 확보방안 마련, 잦은 침수로 인한 상시활용 가능한 범위안에서의 재정비, 기초 시민편의시설 설치, 공원관리 방안 마련 등을 주안점에 두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해시에 턱없이 부족한 야구장은 정규규격으로 2면, 정규규격 축구장 1면 등으로 대형구장을 배치하고,
마찰교(김해농산물 종합유통센터 입구 교량)에서 칠산로(조만강생태체육공원 둑방) 진입로 개설 및 장유로329번길(대청천 하류 둑방길)과 칠산로151번길의 정비를 통한 접근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기초 편의시설 설치와 더불어 오토캠핑장 등의 설치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다양한 재정비 방안을 마련하여 김해서부권역의 명실상부한 생태체육공원으로 만들어야 겠습니다.
'시의원 의정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명더라우 공공임대주택, 법령은 필수적으로 준수해야... (0) | 2014.11.13 |
---|---|
조만강 생태체육공원 활용가능하도록 대안 마련해야.. (0) | 2014.11.13 |
대청천 주변도로(번화1로) 진출입로 개선이 필요합니다. (0) | 2014.11.12 |
대청천 생태하천조성공사 실무를 점검하고 현장을 들러봤습니다. (0) | 2014.11.11 |
대청천에 강변 공연장설치를 검토중입니다. (0) | 201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