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개발계획을 입안하는 국토부 공무원들의 개발예정지 토지매입을 보고 크게 놀랐습니다.
중앙·지방정부, 정관계 등에 얼마나 만연되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정부가 며칠전 세 곳 개발지역(광명·시흥지구, 광주 산정지구, 부산 대저지구)을 발표했을 때 부산 대저지구가 포함된 것을 보고도 많이 놀랐습니다.
그동안 김해신공항 건설과 관련하여 ‘정 필요하다면 낙동강변과 11자 형태의 활주로 건설을 검토해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김해신공항 발표때부터 가져왔던 저는 문득 “이래서(대저지구 개발을 위해) 가덕도에 신공항을 건설하자고 했던 것인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국토부 내부에는 종류별 온갖 개발계획(안)들이 있을 것이고, 그중에 선택이 결정일 것인데..
“힘(권력)에 의해서 뭔가 큰 그림들이 내부적으로 결정 되어진 이후 그를 위한 명분을 만들어 여론을 조성한 후 이를 빌미로 추진되는 것인가?”라는 생각까지 듭니다.
기사들을 보니, 가덕도 사유지 80%를 외지인이 소유하고 있다는 기사도 있던데...
김해공항 인근인 부산 대저지구의 개발지구 지정과 에코델타시티의 개발도 김해신공항 건설을 반대하며 반드시 이전해야 하는 이유중 하나 였을까요??
이래서 권력 주변에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것이고, 또 권력은 그들을 위해 뭔가를 나눠줘야 하는 것일까요?
부산 대저지구 너른 농지들의 소유자는 어떤 사람들일까? 사뭇 궁금해집니다..
*. 참고 >> blog.daum.net/lyc2839/8721810
국토부, 부산 대저지구에 1만 8천호 공급?
국토부가 부산 강서구 대저지구에 1만 8천호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말 주택이 부족한걸까요? 신공항관련 김해공항에 신규활주로가 필요하다면, 낙동강변과 11자 형태로 가능여부를
blog.daum.net
'정치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루킹 만기 출소,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울까요? (0) | 2021.03.20 |
---|---|
3기 신도시 지정 ‘대저지구’도 조사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0) | 2021.03.12 |
이 정권에 미련을 버립니다. (0) | 2021.02.25 |
국토부, 부산 대저지구에 1만 8천호 공급? (0) | 2021.02.24 |
백기완선생님의 영면을 기원합니다. (0) | 2021.02.15 |